반응형 목돈 모으기5 고정지출 줄이기 ② - 대중교통 교통비(정기권, 알뜰교통카드) 매일 출근하는 직장인이라면 교통비도 작지만 무시할 수 없다. 지하철로 출퇴근만 해도 하루에 최소 2,500원이 든다. 한 달이면 5만 원이 넘는 금액이다. 사람들만 좀 만나고 다녀도 한 달에 10만 원 가까이 교통비가 나오기도 한다. 교통비를 아낄 수 없는 방법은 없을까? 몇 가지 정리해 보았다. 목차 1. 지하철 정기권 1.1. 사용기간 1.2. 서울전용 정기권 1.3. 거리비례용 정기권(18종) 1.4. 정기권 사용 시 알아둘 점 2. 알뜰교통카드 2.1.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방식 2.2. 알뜰교통카드 신청 방법 2.3. 알뜰교통카드 사용 시 알아둘 점 3. 기대 효과 1. 지하철 정기권 정기권은 정기권카드를 2,500원에 구입하고 정기권 운임을 충전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정기권카드는 지하철.. 2023. 1. 31. 고정지출 줄이기 ① - 통신비, 통신요금(알뜰폰 MVNO) 2022년 6월 기준 알뜰폰 가입자의 수가 1,000만 명을 넘어섰다. 알뜰폰이 도입된 지 10년 만이다.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알뜰폰을 이용하는지, 알뜰폰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자. 목차 1. 알뜰폰이란? 2. 알뜰폰의 장점 3. 알뜰폰의 단점 4. 알뜰폰 요금제 4.1. 데이터 사용량 기준 4.2. 데이터 속도 기준 5. 알뜰폰 요금제 가격대별 비교 5.1. 월 3만 원 이상 요금제 5.2. 월 2~3만 원 요금제 5.3. 월 1~2만 원 요금제 5.4. 월 1만 원 이하 요금제 6. 기대 효과 1. 알뜰폰이란? 알뜰폰이란 이동통신망을 갖추고 있지 않은 사업자가 KT, S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사의 망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통신서비스를 말한다. 2012년 6월 무렵 이명박 정부 때 .. 2023. 1. 30. 소비, 저축, 투자 가이드라인 나 잘하고 있는 걸까 사회초년생의 입장에서, 혹은 20대나 30대의 입장에서 돈 모으기가 참 어려운 세상이다. 적금, 주식, 보험, 부동산 등 재테크 종류도 많아도 너무 많다. 작년까지만 해도 주식을 안 하면 바보 취급을 받더니, 이제는 다시 예적금 금리가 높다고 한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영끌을 해서라도 집을 사라더니, 요즘엔 집값도 내리고 주택대출상환을 못해서 난리라고 한다. 그뿐인가. 시드를 모으기 위해 돈을 아껴야 하는 건 알겠는데 관리비, 월세, 통신비, 보험료, 기름값, 식비, 생활비 등등... 돈 나갈 구석은 너무 많다. 개인 재무상태 분석 이러한 고민들을 안고 사는 사람들에게 소비, 저축, 투자 등을 얼마만큼 해야 할지 참고가 될 만한 기준을 소개해 주고자 한다. 개인 재무설계의 내용 중.. 2023. 1. 28. 청년도약계좌 금리, 조건 1. 청년도약계좌 금리, 그래서 몇 % 일까? 청년도약계좌가 2023년 6월 출시된다. 청년도약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이다. 청년도약계좌는 납입 금액에 비례하는 정부 기여금, 이자소득 비과세라는 장점이 있다. 매달 70만 원씩 납입하면 5년 후 약 5천만 원을 수령할 수 있다고 한다. 이 경우 70(만 원) ×60(개월)은 4,200만 원이니, 약 800만 원을 이자로 받는 셈이다. 이게 어느 정도 금액인지 감이 오지 않으니 계산기를 두드려보자. 이자금액의 15.4%가 원천징수되는 일반적인 적금이 단리로 이만큼의 이자를 받으려면 연 8.85% 정도여야 한다. 월 납입액 700,000원, 연 8.85% 단리로 계산했을 때 세전 만기지급액은 .. 2023. 1. 2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