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장병내일준비적금 은행 금리 추천 - 1000만원 온라인 가입 40만원 비대면 가입 만기해지 서류 3대1
이번 포스팅에서는 장병내일준비적금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가입대상과 가입방법, 그리고 금리 혜택을 은행별로 비교해 보았으니 가입하실 분들께서는 꼼꼼하게 읽어보시고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이란?
가입대상 및 가입방법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대상은 현역병, 상근예비역, 사회복무요원, 전환복무자(의무경찰, 의무해양경찰, 의무소방), 대체복무요원 등 대한민국 병역의무 이행자입니다.
가입은 장병내일준비적금을 취급하는 시중은행 14개 중에서 선택해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은행별로 금리가 다르기 때문에 잘 비교해 보고 가입하셔야 합니다.
KB국민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하나은행 | IBK기업은행 |
NH농협은행 | SH수협은행 | 경남은행 | DGB대구은행 | 광주은행 |
전북은행 | 부산은행 | 제주은행 | 우체국 |
월복리 적금 추천 5.85% - 하나은행 급여하나 월복리 적금 2023 특판 상품
가입 혜택
- 은행이자 5% 수준에 더해서 국가지원이자 1%가 추가로 부여
- 이자소득 비과세
- 3대1 매칭지원금
장병내일준비적금의 가장 큰 혜택은 3대1 매칭지원금입니다. 납입원리금의 33% 금액만큼을 전역 시 국가에서 지원한다는 내용입니다. 만기해지 시 개인계좌로 원리금의 33%에 해당하는 금액이 추가로 입금되며, 입금까지 최대 3개월 정도가 소요됩니다.
예를 들어서 복무기간 18개월 동안 월 40만 원씩 넣는다고 계산해 보겠습니다.
- (만기해지) 원금 720만 원 + 은행이자 28.5만 원 + 국가지원이자 5.7만 원 = 754.2만 원
- 3대1 매칭지원금 약 248.8만 원
- 총 약 1,003만 원
군 복무를 하는 동안 40만 원씩만 납입하면 전역 후 1,000만 원이 생긴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가입자격확인서 발급
장병내일준비적금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가입자격확인서가 필수로 필요합니다. 그런데 복무 유형별로 발급기관과 신청 방법이 다른데요. 아래에 정리해 두었으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현역병/상근예비역
- 발급기관: 국방부
- 신청 방법
- (신병교육기관) 인사실무자에 의해 일괄 발급 후 개인 지급
- (자대 전입 후) 직접 국방인사정보체계에서 신청 및 출력
사회복무요원
- 발급기관: 병무청
- 신청 방법
- (온라인) 사회복무포털 (https://sbm.mma.go.kr)
- (오프라인) 복무기관 담당자
의무경찰
- 발급기관: 경찰청
- 신청 방법: 복무 중인 의경부대 행정반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
의무 해양경찰
- 발급기관: 해양경찰청
- 신청 방법: 소속 해양경찰관서 의경지도관에게 신청
의무 소방원
- 발급기관: 소방청
- 신청 방법: 소속 소방관서 의무소방담당자(중앙소방학교 교육훈련과 담당자 포함)에게 신청
대체복무요원
- 발급기관: 법무부
- 신청 방법: 소속 복무기관 담당자에게 신청
2023 장병내일준비적금 금리 비교
은행별 기본금리
기본금리 기준으로는 BNK경남은행이 5.40%, 광주은행이 5.20%로 가장 높습니다. 우대금리를 적용받기 어려운 분들께서는 경남은행이나 광주은행 중에서 신청하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전역 후 만기해지 시 전역증이나 병적증명서를 은행에 직접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자신의 집에서 가까운 은행 지점을 미리 알아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너무 멀면 번거로우니까요.
은행별 우대금리
종류 | 금리 | 우대조건 |
신한은행 | 기본 5.0% + 우대 0.7% = 5.7% | 청약보유 0.3%, 카드사용 0.2%, 자동이체 달성 0.2% |
하나은행 | 기본 5.0% + 우대 0.7% = 5.7% | 청약보유 0.5%, 카드사용 0.2% |
광주은행 | 기본 5.2% + 우대 0.5% = 5.7% | 입출금통장 0.1%, 카드사용 0.1%, 자동이체 달성 0.1%, 은행앱사용 0.2% |
경남은행 | 기본 5.4% + 우대 0.1% = 5.5% | 청약보유 0.1% |
기업은행 | 기본 5.0% + 우대 0.5% = 5.5% | 카드사용 0.2%, 청약신규 0.2%, 은행앱사용 0.1% |
국민은행 | 기본 5.0% + 우대 0.5% = 5.5% | 급여연동 0.3%, 청약보유 0.2% |
농협은행 | 기본 5.0% + 우대 0.5% = 5.5% | 카드사용 0.2%, 청약보유 0.3% |
우리은행 | 기본 5.0% + 우대 0.5% = 5.5% | 자동이체 달성 0.3%, 카드사용 0.1%, 청약보유 0.1% |
우체국 | 기본 5.0% + 우대 0.5% = 5.5% | 자동이체 달성 0.2%, 카드사용 0.2%, 첫거래 0.1% |
부산은행 | 기본 5.0% + 우대 0.1% = 5.1% | 청약보유 0.1% |
대구은행 | 기본 5.0% | - |
수협은행 | 기본 5.0% | - |
제주은행 | 기본 5.0% | - |
전북은행 | 기본 5.0% | - |
기본금리에 우대금리까지 모두 적용한 경우에는 신한은행, 하나은행, 광주은행이 5.7%로 가장 금리가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