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연금7

퇴직연금 요약 정리 ③ - 개인형 퇴직연금(IRP)(2023) 잦은 이직, 중간정산 등으로 퇴직금을 노후 자금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탕진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폐단을 방지하기 위해 나온 계좌가 바로 개인형 퇴직연금(IRP)이다. 개인형 IRP가 무엇인지, 혜택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정리해 보았다. 특히 2023년부터 세법이 개정되면서 납입 한도, 세액 공제 등 바뀐 점들이 있으니 확인해 보자. 목차 1. 퇴직연금의 종류 2. 개인형 퇴직연금(IRP)의 운영 구조 2.1. 기업형 IRP의 운영 구조 2.2. 개인형 IRP의 운영 구조 2.3. 개인형 IRP 납입 한도 3. 개인형 IRP의 세금 혜택 3.1. 연금저축과 개인형 IRP의 세액공제 한도 및 공제율 3.2. 알아두어야 할 점 1. 퇴직연금의 종류 퇴직연금은 크게 확정급여형(DB, Defined Ben.. 2023. 2. 8.
퇴직연금 요약 정리 ② -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 저번의 확정급여형(DB) 퇴직연금에 이어 이번 글에서는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확정급여형(DB)은 퇴직 전 3개월 동안의 급여를 기준으로 퇴직급여가 계산되기 때문에, 임금피크제가 도입된 회사의 근로자는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을 고려해 볼 만하다. 그렇다면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의 운영 구조와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목차 1. 퇴직연금의 종류 2.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의 운영 구조 3.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의 장점 4.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의 단점 1. 퇴직연금의 종류 퇴직연금은 크게 확정급여형(DB, Defined Benefit), 확정기여형(DC, Defined Contribution), 개인형 IRP(Individual Retirement Pensi.. 2023. 2. 7.
퇴직연금 요약 정리 ① - 확정급여형(DB) 퇴직연금 경제정보센터(KDI)에 따르면 20221년 기준 퇴직연금 가입 대상 근로자 11,957천 명 중 6,368천 명이 퇴직연금 제도에 가입한 상태라고 한다. 가입 대상 근로자 중 절반 이상의 근로자가 퇴직연금 제도에 가입한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이 30%도 채 안 된다고 하니 퇴직연금, 개인연금은 이제 필수라고 봐야 할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퇴직연금 중에서도 확정급여형(DB) 퇴직연금의 개념과 운영 구조, 장점과 단점 등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목차 1. 퇴직연금의 종류 2. 확정급여형(DB) 퇴직연금의 운영 구조 3. 확정급여형(DB) 퇴직연금의 장점 4. 확정급여형(DB) 퇴직연금의 단점 1. 퇴직연금의 종류 퇴직연금은 크게 확정급여형(DB, Defined Benefit), 확정기여형(.. 2023. 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