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투자용 국채 출시 소식 정리
안전자산으로서 국채, 채권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이 많을 텐데요. 2024년 올해부터는 개인이 소액으로 국채에 투자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렇다면 채권과 국채가 무엇인지, 그리고 개인이 투자할 수 있는 채권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채권이란?
채권은 말 그대로 채무를 나타내는 금융상품으로써, 정부나 기업 등 기관에서 자본 조달을 목적으로 투자자에게 채권을 발행합니다. 채권 구매 시 정기적인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 시 원금을 반환하는 것을 대가로 발행자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이라고 이해하실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채권에는 지정된 액면가, 표면이자율(이자율), 만기일이 정해지게 되는데요. 액면가는 만기 시점에서 채권의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 나타내는 금액입니다. 또한 표면이자율은 액면가에 적용되는 이자율, 만기일은 채권이 상환되는 시점입니다.
채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만기일까지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고, 만기일부터는 채권 액면가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채권의 가격은 이자율 변화, 그리고 발행자의 신용도에 따라서 결정되는데요. 주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다고 볼 수 있지만 채권을 발행하는 기관 등의 재무 건전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국채란?
국채는 채권의 일종으로 정부가 공공 프로젝트, 인프라 개발을 목적으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무 증권입니다. 또는 예산 적자를 충당하기 위해서 발행하기도 하는데요.
국채는 본질적으로 정부가 세금을 부과하고 통화를 발행할 수 있는 입장이기 때문에 위험도가 낮은 채권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국채를 통해 얻은 수익금을 공공 지출 자금 조달에 사용하는데요.
국채에도 마찬가지로 액면가, 표면이자율(이자율), 만기일 등이 정해져 있습니다. 국채의 투자자는 역시 채권이 만기 될 때까지 정기적으로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액면가를 상환받을 수 있습니다.
국채에도 다양한 유형이 있고 각 유형마다 만기, 특성 등의 특징이 달라집니다.
개인투자용 국채
국채는 수익률 측면에서 주식 투자보다 우수하다고 여겨져서 ETF, 펀드 등의 금융상품에 포함되곤 했는데요. 2024년부터는 개인 투자에 맞춘 국채 발행이 시작되며 어느 정도의 자본으로 이러한 투자에 개인이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1인 1계좌 소유 가능
- 투자금액은 최소 10만 원~ 최대 1억 원
- 채권 투자 옵션은 10년 만기 채권, 20년 만기 채권 포함
- 만기까지 국채 보유 시 표면금리에 더하여 가산금리에 연 복리를 적용한 이자를 일괄 지급
- 개인투자용으로 지정된 국채에 대한 이자는 별도의 조세 제도 적용
- 구채 매입 시 최대 2억 원까지 이자소득에 대해 14% 과세 적용
개인투자용 국채 예상수익률
국채의 표면금리가 3.5% 일 경우를 가저하면, 개인투자용 국채의 10년물 만기수익률은 41%, 20년물의 만기수익률은 99%로 계산됩니다.
즉 연평균 수익률은 10년물 4.1%, 20년물 4.9%인 셈입니다. 아래는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보유기간별 수익률입니다.
'재테크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포인트 현금화하는 방법, 사용처 정리 (0) | 2023.08.25 |
---|---|
에어컨 전기세 절약 팁 (정속형, 인버터) (0) | 2023.08.03 |
빽다방 창업비용, 수익 정리 (0) | 2023.07.29 |
노브랜드버거 가맹사업 창업 비용, 개설 지역 정리 (0) | 2023.07.27 |
새마을금고 부실지점 30곳 확인하는 방법 (0) | 2023.07.27 |
댓글